나스닥 종목인 RAPID7(RPD)의 일봉 차트다.
확장 삼각형 패턴이라고도 불리는 조정 패턴 중 하나다.
마치 파동 3의 하위 1파, 그림에서는 6월의 (a) 이후 하위 2파, 그림에서는 (b)가 지그재그로 나오고 하위 파동 3, 그림에서는 (c)가 올라가는 모습으로 보이기 때문에 위 그림의 (a)의 고점을 돌파하는 양봉을 보고 매수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까지는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 입각할 때는 지극히 합리적인 판단이다.
이후 (a)파 높이의 168%에 가깝게 상승하는 (b)파를 보고 나면 여기가 하위 파동 3일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아직 한참 더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
이후 하위 파동 4, 그림에서는 9월의 (a)로 보이는 조정을 거치고 상승하는 파동은 아마도 하위 파동 5가 돼야 할 것이고 그것으로 파동 3의 고점을 장식한 후 파동 4, 파동 5로 이어지면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될 것이다.
그런데 상승을 멈춘 파동이 아래로 곤두박질을 시작한다.
여기서 뭔가 이상하다고 느꼈다면, 충격 파동이 힘을 잃고 무너질 것에 대비하여 일부 매도 준비를 해야 한다.
이런 모습의 조정이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파동 2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보유. 좀 더 안전하게 가겠다면 매도.
이것이 파동 2라면 파동 1의 저점을 깨면 안 된다. 만일 파동 2를 깨고 내려간다면 주저할 것 없이 전량 매도로 대응해야 한다.
혹시 모를 위험을 회피할 의도로 매도를 결심했다면 늦어도 파동 (a)의 고점을 하향 이탈하는 시점에서는 실행에 옮겨야 한다.
이후 확장형 플랫 조정이었음이 확인된다면 적당한 수준에서 재매수에 들어간다.
이후의 주가 흐름.
저 작은 언덕에서 그렇게 공포에 떨었던가.
같은 유형의 조정 모습을 하나 더 보고 끝내기.
NYSE(뉴욕증시) 종목인 Snap Inc.(SNAP)의 일봉.
파동 1, 2의 모습이다.
이 종목의 이후 주가 흐름
참고 서적
- 김중근 저, 엘리어트 파동이론
- 로버트 R. 프렉터 주니어, A.J.프로스트 공저, 김태운 역, 엘리어트 파동이론
- 랄프 넬슨 엘리어트 저, 엘리어트 파동이론
- Aleksandar Vichev 저, Elliott Wave Perspective
※ 당부의 말씀
-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현재 주가의 위치를 기준으로 매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의 가이드일 뿐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이 게시물은 어디까지나 공부를 위한 것이므로 미래를 예측하거나 투자의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 파동 카운팅은 주관적일 수 있으므로 사람마다 다른 결과를 볼 수 있으며, 언제나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게시물이 가장 옳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 지금 보는 게시물의 날짜는 실제로 열람하는 날짜와 다릅니다. 당일의 차트는 이미 크게 달라져 있을 수 있으니 이 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케미칼(285130) (0) | 2021.04.19 |
---|---|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0) | 2021.04.19 |
에이치엘비 일봉으로 배우는 엘리어트 파동 (0) | 2021.04.17 |
SK텔레콤(017670) (0) | 2021.04.13 |
현대차(005380) (0) | 202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