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

테스트 소켓 강자, 리노공업의 주가 위치는?

갱이 오빠 2022. 8. 28. 22:14

 

8.28.

요즘 반도체 테스트 소켓이 핫이슈다.

그래서 분석해 본 리노 공업 차트.

단기적으로는 업황이 좋지 않지만 이럴 때 앞으로를 내다보고 매수해 볼 종목군에 들어간다.

 

관련 보고서로는 최근에 한국투자증권에서 박성홍 연구원이 낸 것이 있는데, 상당한 분량이지만 산업 전반을 깊게 공부하기 좋다.

 

"세상의 변화는 작은 소켓으로부터"

한국투자증권에 계좌가 없는 경우에도 검색해 보면 여러 투자자들이 요약 정리해 놓은 내용부터 보고서 원본까지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최소한 매체에 공개된 요약본 정도는 읽어 보자.

https://vip.mk.co.kr/newSt/news/news_view2.php?p_page=&sCode=110&t_uid=6&c_uid=53469&search=%B8%AE%B3%EB%B0%F8%BE%F7 

 

[반도체 및 관련장비] 세상의 변화는 작은 소켓으로부터

[반도체 및 관련장비] 세상의 변화는 작은 소켓으로부터

vip.mk.co.kr

 

 

위 보고서 내용 중 일부

 

위 보고서 내용 중 일부

 

 


 

주봉 차트.

 

 

 

엘리어트 파동의 C파동 진행중에 반등을 주는 모습이다.

지금의 위치로는 하단에서 상승중인 200주 이평선까지는 하락의 가능성이 남아 있는데, 그렇게 조정을 다 받고 가는 게 예쁠 것 같다.

장기와 단기 이동평균선들도 이격을 많이 벌렸다가 당겨지는 구간에 접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주가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추세 반전을 기대하기는 아직 이르다.

 

일봉 차트.

 

 

20일 이평선을 장대 양봉으로 올라 서면서 60일 이평선마저 돌파한 후 20일 이평선에 안착한 모습은 좋다.

단기적으로 형성된 상승 추세 하단의 지지와 위에서 내려오는 120일 이평선의 저항이 형성된 모습이다.

 

월봉 차트.

 

 

6월 음봉의 종가 부근에서 7월에 도지. 8월에 양봉이 형성된 것은 매우 좋지만 바로 위의 5월 이평선의 저항에 눌려 6월 음봉의 절반을 회복하지 못한 것은 매우 아쉽다.

그래도 거래량이 늘면서 변곡 패턴을 약하게나마 형성한 것은 좋다.

 

외국인 수급.

 

 

최근 들어 매도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리노공업/ISC/티에스이 3사 모두 외국인 매수 누적이 늘어나는 기간 동안 30~40% 수익률을 보여준 예가 있다는 점에서 보면 상당히 의미 있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결론: 단기적으로는 더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분할 매수. 중요한 가격대는 135000원과 142000원 사이.

 

끝.

 


"시장의 추세를 움직이는 힘의 근본 원인은 대자연과 인간의 행동에서 찾을 수 있다."

 

- 랄프 넬슨 엘리어트 -

 

 

시장의 움직임이 대세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은 사람이 엘리어트가 처음은 아니었다.

찰스 헨리 다우가 그보다 먼저 있었다.

 

엘리어트가 알아낸 것은 반복적인 프랙털 패턴 안에서 그 대세가 움직인다는 것이었고, 그 패턴을 파동이라고 불렀다.

 

 

 

 

※ 참고 서적

김중근 저, 엘리어트 파동이론

김정환 저, 차트의 해석

로버트 R. 프렉터 주니어, A.J.프로스트 공저, 김태운 역, 엘리어트 파동이론

랄프 넬슨 엘리어트 저, 엘리어트 파동이론

글렌 닐리 저, 엘리어트 파동이론 마스터

토마스 N. 불코우스키 저, 차트 패턴

Aleksandar Vichev 저, Elliott Wave Perspective

조용 저, 실전 매매 기법 완결편

 

※ 당부의 말씀 ※

기술적 분석이란 보다 높은 확률을 갖는 방향성을 발견하는 작업입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현재 주가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후의 흐름을 그려보기 위한 하나의 도구일 뿐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이 게시물은 작성자 본인의 공부를 1차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미래를 예측하거나 투자의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파동 카운팅은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 한 주관적인 것이 당연하므로 언제든지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게시물이 가장 옳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지금 보는 게시물의 날짜는 실제로 열람하는 날짜와 다릅니다. 당일의 차트는 이미 크게 달라져 있을 수 있으니 이 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